고용노동부(장관 김영훈)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만 50세 이상 만 65세 미만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취업 성과 데이터를 분석해, 중장년이 취득하면 좋은 유망 자격을 소개했다.

분석 대상 기간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으로, 만 50세 이상 중장년 자격 취득자 약 51만 명의 데이터 중, 취득일 당시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실업자’ 약 24만 명의 성과를 비교해 추천할만한 자격을 뽑았다.

◈ 단기간 취업이 잘 되는 상위 5개 자격은?

자격 취득 후 6개월 이내 취업률이 가장 높은 자격은 공조냉동기계기능사(54.3%)로, 자격 취득자의 절반 이상이 6개월 이내 취업에 성공했다. 그 외에도 단기간 내 취업 성과가 높은 자격은 에너지관리기능사(53.8%), 산림기능사(52.6%), 승강기기능사(51.9%), 전기기능사(49.8%) 등이 있었다.

◈ 취업 후 임금수준이 높은 상위 5개 자격은?

자격 취득 후 첫 취업처에서의 월 보수액을 비교해보니,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취득자의 월 보수액의 평균값이 36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천공기운전기능사(326만원), 불도저운전기능사(295만원), 기중기운전기능사(284만원), 철근기능사(284만원) 등이 취업 후 임금수준이 높은 자격으로 분석됐다.

◈ 취업 후 고용 상태가 안정적인 상위 5개 자격은?

취업률이 높았던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자격이 고용 안정성도 가장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격 취득 이후 고용보험에 가입된 기간의 비중*이 46.7%로 절반에 가까웠는데, 예를 들어 2020년에 취득했으면 기준일인 4년 대비 약 2년간, 2023년에 취득했다면 기준일인 1년 대비 약 6개월 동안이 평균적인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었다. 그 외에도 에너지관리기능사(45.2%), 승강기기능사(42.7%), 산림기능사(42.0%), 전기기능사(41.4%) 등도 일자리를 오래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분석됐다.

* 2020년 자격 취득자는 취득 후 4년(1,460일), 2021년 취득자는 3년(1,095일), 2022년 취득자는 2년(730일), 2023년 취득자는 1년(365일), 2024년 취득자는 150일을 ‘기준일’로 설정하고,
기준일 대비 고용보험 가입 기간의 비중이 큰 경우 고용 안정성이 높은 자격이라고 전제

◈ 현장 수요도 많아 추천할만한 자격은?

취업도 잘 되고 기업의 채용 수요도 많은 유망 자격으로는 에너지관리기능사가 꼽혔다. 에너지관리기능사 자격의 취업 성과 순위를 보면 취업률은 2위, 임금수준은 16위, 고용 안정성은 2위에 해당했다. 또한 이 자격을 채용 요건으로 한 고용24 구인 인원도 1,922명(2024년부터 2025년 5월까지)으로 8위를 차지해 추천할만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밖에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전기기능사, 승강기기능사, 피복아크용접기능사, 가스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설비보전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등도 취업에 유리하고 현장 수요도 풍부한 자격으로 뽑혔다.

고용노동부는 중장년의 유망 자격 취득을 지원하기 위해 폴리텍 중장년 특화훈련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2025년 본예산 목표 인원 2,800명 대비 5천여 명 증원한 2026년 7,700명 규모로 정부안이 편성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중장년들의 훈련 참여 기회도 넓힌다.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은 중장년은 고용24 누리집(www.work24.go.kr)에 접속하여 ‘직업 능력 개발’ 항목의 ‘훈련 통합검색’ 창을 열고 검색어에 자격증 명을 입력해 모집 중인 훈련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권진호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인생 2모작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이 자격을 취득하려 할 때,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고, 힘들게 자격을 취득해도 취업으로 이어지지 않아 좌절하는 경우가 많았다.”라며, “이번에 발표한 유망 자격 정보가 중장년층이 새출발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정부는 앞으로도 중장년의 일자리 기회를 넓히기 위해 정보 제공부터 직업훈련, 일경험, 취업알선, 장려금 지원 등을 연계하는 정책 패키지를 확대해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붙임 1

50+ 중장년 취업 성과가 좋은 유망 자격 분석 결과

□ 자격 분석 틀

ㅇ정보 출처 : 국가기술자격(자격취득자), 고용보험(피보험자),
고용24(구인) 등 고용노동부가 관리 중인 통계

ㅇ분석 대상 정보 :
2020년~2024년, 만50~65세 중장년 자격 취득자(511,943명) 中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로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자(186,947명)의 취업 및 고용보험 가입 등 상태 변화를 추적한 데이터

※ 단, 이 때의 ‘취득자’는 ‘자격 취득 번호’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중복을 제거한 순인원이 아니며, 5년 누적 취득자 수가 100명 미만인 자격은 분석에서 제외

ㅇ취업 성과 판단 기준 :
❶~❸을 주요 성과 변수로 분석하되,
❹ 항목을 추가해 최근 기업의 수요가 충분한 자격인지 파악

❶초기 취업 성과– 자격 취득 후 6개월 내 취업률*

* (6개월 이내 고용보험 취득자 / 자격 취득자) × 100

❷초기 취업의 질– 자격 취득 후 첫 취업처의 월 보수액 평균*

* 고용보험 취득신고서 제출 시 기재하는 해당 일자리 ‘월 평균 보수액’의 평균 값
↳ 각 연도의 명목임금을 GDP 디플레이터를 적용하여 2024년 가격 수준으로
환산한 실질임금으로 비교(2025년 임금은 1/4분기 자료 활용)

❸중기 고용안정 성과– 자격 취득 후 고용보험 가입 기간 비중*

* (고용보험 보유 일수 / 기준일) × 100
↳ 단, 2020년 자격 취득자는 취득 후 4년(1,460일), 2021년 취득자는 3년(1,095일),
2022년 취득자는 2년(730일), 2023년 취득자는 1년(365일), 2024년 취득자는
150일을 ‘기준일’로 설정

+❹자격에 대한 수요– 고용24 구인 정보 중 요구 자격별 구인 인원

□ 분석 결과

ㅇ각 성과 변수별 상위 5개 기능사 자격증

❶ 취업이 잘 되는 자격은?
▸자격 취득 후 6개월 내 취업률이 높은 자격

❷ 취업 후 임금수준이 높은 자격은?
▸자격 취득 후 첫 취업처에서의 월 보수액 평균값이 큰 자격

❸ 취업 후 고용 상태가 안정적인 자격은?
▸자격 취득 후 기준일 대비 고용보험 가입 기간 비중이 큰 자격

* 고용보험 가입 기간 비중 = (고용보험 보유 일수 / 기준일) × 100
↳ 단, 2020년 자격 취득자는 취득 후 4년(1,460일), 2021년 취득자는 3년(1,095일),
2022년 취득자는 2년(730일), 2023년 취득자는 1년(365일), 2024년 취득자는
150일을 ‘기준일’로 설정

ㅇ취업 성과 종합 분석(❶~❸ 항목) 순위 및 구인 규모 순위가 고루 높은 상위 10개 기능사 자격증


※ 이 기사는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