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연장에서는 상용화를 앞둔 ①3D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AI 학습을 통해 작물 생육 측정값을 추출하는 서비스, ②온실 내부 레일을 따라 온실 전체를 예찰하는 자율주행 예찰 로봇, ③작물 이미지에서 생육정보를 측정하는 서비스 및 농사정보 가이드 챗봇, ④음성을 인식한 영농일지 자동 작성 및 LLM 기반 영농관리 챗봇, ⑤카메라로 촬영된 수정벌의 수분활동 영상을 AI로 분석하고 LLM 기반 맞춤형 컨설팅 보고서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 5개 서비스가 시연되어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시연 종료 후에 가진 참석자들과의 소통시간에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AI 기반 서비스의 실증 및 보급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참석자들은 어떤 데이터들이 주로 수집되고 개방되는지, 데이터의 품질관리는 어떠한지 등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데이터·AI 기반 서비스에 대한 실증 및 보급 지원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고, 농업인의 데이터·AI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컨설팅 강화를 요청하기도 하였다. 농식품부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향후 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농업인과 기업 관계자들은 “AI 기술이 농업에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체감할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김정욱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업의 AI 대전환을 위한 핵심 자원은 데이터”라며,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AI 기반 스마트농업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고 동시에 데이터의 공급·개방 과정에서도 AI 기술을 적극 접목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부는 데이터, AI, 농업기술이 선순환하는 농업 AX 생태계를 적극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연업체
1. 아이티컨버전스
▸연혁 : 2014년 설립
▸대표 : 이옥정
▸직원 수 : 30명
▸평균 매출액(백만원) : 3,000
▸주요 상품/서비스 : 생육계측장치 및 통합플랫폼 / SI. ERP
□ 인공지능 기반 생육 데이터 추출 서비스
ㅇ (개발경과) 기술 특허등록(’16) → 시제품 개발(’19) → 연구소 등에 분석용으로 납품(’21) → 상표등록출원(’22) → 지원사업을 통한 실증(’24)
- 현재 50여곳 연구소, 기술원 및 대학교 등에 제품 판매 및 임대 중
ㅇ 주요내용) Depth 카메라로 촬영한 RGB 이미지 데이터에서 딥러닝 학습을 통한 생육 측정값을 추출하고 스마트팜 빅데이터플랫폼 내 농가활용서비스에 전송 및 결과 조회
【작물 자동생육계측 장비】
2. 아이오크롭스
▸연혁 : 2018년 설립
▸대표 : 조진형
▸직원 수 : 30명
▸평균 매출액(백만원) : 4,000
▸주요 상품/서비스 : 아이오팜(근권부센서), Ation(농작업 실시간 관리 솔루션, Hermai(자율주행 농작업 로봇)
□ 스마트팜 자율주행 예찰 로봇 AI 서비스
ㅇ (개발경과) 지원사업을 통한 실증(’23) 후 현재 Hermai(로봇) 모델 중 방제, 예찰, 운반은 상용화하여 판매 중이고, 자율주행 및 AI 비젼 모델 고도화 진행 중
- ’26년 오이 수확 로봇 PoC 제품 런칭 준비 중
ㅇ (주요내용) 자율주행 예찰 로봇이 온실 복도에서 온실 내부 레일에 진입하여 레일 끝까지 이동하면서 생육조사를 실시하고 수확량 예측【자동 예찰 로봇】
3. 더아이엠씨
▸연혁 : 2003년 설립
▸대표 : 전채남
▸직원 수 : 49명
▸평균 매출액(백만원) : 3,200
▸주요 상품/서비스 : farmstom(팜스톰), farmsbot(팜스봇)
□ 생육정보 자동 측정 서비스
ㅇ (개발경과) 서비스 기획(’21) → 이미지 데이터 수집 및 모델 개발(’22~’23) → 실증(혁신밸리 실증온실) 및 고도화(’23~)
- 생육정보 자동 입력 정확도 90% 달성, 현재는 생육단계 예측을 통한 생육진단 모델로 전환
ㅇ (주요내용) AI 기반 온실최적환경 제어·생육분석 솔루션(팜스톰)을 통한 작물 이미지 분석 및 생육정보 자동 입력
□ 농사정보 가이드 챗봇 서비스
ㅇ (개발경과) 서비스 기획(’23) → 농진청, 스마트팜 매뉴얼 등 데이터 수집 및 개발(’23) → 실증 및 고도화, 30농가에 제공·운영(’24~)
ㅇ (주요내용) 농사정보, 농업재난(이상기후, 병해충) 데이터를 학습한 LLM 서비스 구축을 통해 농업인이 농사 관련 궁금증 및 문제 발생 시 대응책을 신속하게 확인하는 서비스
4. 유비엔
▸연혁 : 2008년 설립
▸대표 : 안은기
▸직원 수 : 21명
▸평균 매출액(백만원) : 2,300
▸주요 상품/서비스 : 농업AI서비스
□ 음성/생성형 AI기반 영농일지 서비스
ㅇ (개발경과) 서비스 개발 착수(’23) → 영농일지·챗봇 1차 개발(’24) → 지원사업을 통한 실증·고도화(’25)
- ’26년 작물 통합형 범용 AI 농업 서비스로 확장 및 상용화
ㅇ (주요내용) ▴음성 및 STT AI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작성 후 저장, ▴영농일지를 캘린더 또는 목록 형식으로 출력 및 목록 다운로드, ▴LLM AI 모델을 이용하여 작성한 영농일지 내용에서 키워드와 작업량 분석 저장
□ 카카오톡을 활용한 LLM 기반의 AI 영농관리 챗봇 서비스
ㅇ (주요내용) 재배환경 정보, 영농일지, 경영장부 등 농가에서 생산하는 MyData와 농업 기관에서 제공하는 작물 재배 및 농장 관리 자료, 작물 재배 관련 논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LLM 기반의 AI 챗봇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텍스트, 엑셀, 이미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
5. 팜커넥트
▸연혁 : 2019년 설립
▸대표 : 김무현
▸직원 수 : 8명
▸평균 매출액(백만원) : 912
▸주요 상품/서비스 : 스마트팜/수정벌 분석 AI솔루션
□ AI 기반 수정벌 수분활동 모니터링 서비스
ㅇ (개발경과) 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확산지원사업을 통해 과실 품질 확보에 ‘벌의 수분활동’이 핵심 변수임을 확인(’23) 후 AI 기반 벌 수분활동 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실증 중(’25)
ㅇ (주요내용) 시설원예 농가에서 수정벌의 수분활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물의 품질(특과·대과 등급) 예측 및 개선 조치방안을 제안하는 생성형 AI 리포트를 자동으로 제공
- 작물의 수확 품질은 개화기 환경과 완전한 수정 및 수분 성공(벌의 화분작업)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수분활동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화방별 수확 품질 예측 및 품질 향상
※ 이 기사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공한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