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 이하 국표원)은 11월 5일(수) SETEC 컨벤션센터에서 해외인증 지원기관 협의체* 및 글로벌 인증기관과 합동으로 '해외인증 트렌드 2025'를 개최하였다.

* 표준협회, 무역협회, KOTRA, 중진공, 산단공 및 7개 시험연구원 등 13개 기관 참여 중

최근 유럽은 글로벌 환경보호를 위해 에코디자인 규정을 제정하여 ‘27년부터 섬유제품에 대해 디지털 제품 여권(DDP)을 도입할 예정이며, 사이버복원력법을 제정(‘27년 적용)하여 디지털제품의 보안을 강화하고 이에 대한 인증을 요구할 예정이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는 식품, 화장품 등에 대한 할랄인증을 ‘26년 10월부터 의무화할 예정이며, 인도는 산업안전을 위해 기계, 전기장비 등에 대한 BIS 인증을 시행(‘26.9월 예정)하는 등 신흥시장의 인증제도도 강화되는 추세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글로벌 기술규제 및 인증제도 변화에 우리 기업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화장품, 식품, 섬유 등 소비재 중심으로 미국·EU 및 신흥시장의 최신 인증제도 동향을 제공함과 동시에 코트라, 한국무역협회 등 수출지원기관의 지원사업을 종합 안내하여 기업들이 내년도 수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하였다.

특히, 기조강연에서 성윤모 석좌교수(중앙대)는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 수출기업의 대응 전략’ 주제 발표를 통해, 미국, EU 등 주요 국가들이 통상규제를 강화해 나가는 추세 속에서 우리 기업이 수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김대자 원장은 “세계 각국은 자국의 환경, 안전, 산업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규제와 인증제도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우리 수출기업이 복잡한 인증 절차를 보다 신속히 해결하여 수출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해외인증 지원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해외인증 트렌드 2025」행사 개요

□ 개최배경

ㅇ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별 인증제도와 기준이 다양화됨에 따라, 화장품·식품·섬유 등 소비재 수출기업들의 인증 대응 역량 강화가 필요한 상황

ㅇ 이에 해외인증 지원기관 협의체 및 글로벌 인증기관이 공동으로, 주요국 규제 동향과 해외인증 트렌드를 공유하기 위한 협력의 장 마련

□ 행사개요

ㅇ (행사명) 해외인증 트렌드 2025

ㅇ (주 최) 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 해외인증지원단

ㅇ (일 시) 2025.11.5.(수) 10:00~17:00

ㅇ (장 소) SETEC 컨벤션센터(학여울역 인근)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3104

ㅇ (참여기관) 해외인증 지원기관 협의체 참여기관* 및 글로벌 인증기관

* 한국표준협회, 한국무역협회, KOTRA, 한국산업단지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TL, KTR, KTC, KCL, KATRI, FITI, KOTITI 시험연구원

ㅇ (참석자) 수출기업, 시험·인증기관 등 약 150여명

□ 주요내용

ㅇ (주요내용) 소비재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미국·EU 및 신흥시장의 최신 해외인증 동향을 공유하고, 멘토링 사례를 통해 대응 전략을 제시

- (기조강연)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 수출기업의 대응 전략

- (특별세션) 소비재 분야 등 주요 수출 품목별 특별세션으로 구성하여 규제 동향, 인증제도 소개 및 기업 1:1 현장상담 진행

※ 이 기사는 산업통상부에서 제공한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